자료관자료관 소식

자료관 소식

김의기열사에 대하여 남겨진 기록이나 추모의 기록들을 자료화하여  정리해놓은 곳입니다.김의기열사 약력 바로가기

 

자료관 소식

“사람으로 살기, 죽어서 살지 아니하기” 김주숙, 김의기 열사를 말하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021-10-05 14:19 조회1,579회 댓글0건

본문

김의기 열사는 1980년 광주항쟁 당시 광주 도청에 있다가 유혈진압을 알리기 위해 서울로 올라와 1980년 5월 30일 종로5가 기독교회관 6층에서 신군부의 5.17 비상계엄 전국 확대 조치와 5.18 광주 민중항쟁 유혈진압을 비판하는 유인물을 뿌린 후 바로 그 아래 계엄군 장갑차들 사이로 떨어져 산화했다. 군인들은 김의기 열사가 뿌린 유인물을 줍느라 김의기 열사의 응급처치에는 안중에도 없었다고 전해진다.

“사람으로 살기, 죽어서 살지 아니하기”

이것은 올해 서강대학교 제38주기 의기제 제목이다. 김의기 열사의 일기장에서 따온 말이라고 한다. ‘서강대 제38주기 의기제 기획단’ 단장 오경택 학생(서강대)은 이번 의기제의 제목을 열사의 일기장에서 따왔다며 “광주민중항쟁을 ‘여전히 끝나지 않은 저항’으로 이해하고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만들어가는 이들과 연대하고자 하는 저희의 마음을 담은 제목입니다.”라고 추모문화제 여는 말로 밝혔다.

의기제는 서강대에서 해마다 518과 열사의 기일에 즈음하여 열고 있는 서강대 학생들의 축제 행사다. 김의기 열사는 1980년 당시 서강대학교 무역학과 학생이었다. 

의기제는 다양한 강연회(5월9일) 및 광주역사기행(5월26일~27일) 등 다양한 행사로 이루어진 가운데, 5월15일에는 추모 미사와 제사, 그리고 추모문화제를 진행했다. 특히 이날 감리교청년회전국연합회 동지회와 5.18 기념재단 민주동우회, 그리고 김의기 열사의 가족이 자리를 함께 했다. 이들은 서강대 캠퍼스 안에 위치한 김의기 열사 추모비에서 제사를 올린 후 청년광장에서 열린 추모문화제에 참여했다.

17401_29382_3520.jpg
▲ 서강대 내 '의기촌'에 마련된 김의기 열사의 추모비 ⓒ윤병희

에큐메니안은 이날 의기제에 참여한 큰 누님이신 김의숙 씨, 작은 누님 김주숙 씨, 그리고 김주숙 씨의 남편인 박철 목사를 만나 작은 누님 김주숙 씨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김주숙 씨는 막내 동생인 열사의 바로 위 누나로서 누구보다도 열사와 가까웠으며 동생에 대한 애틋한 기억 및 그에 대한 존경과 동시에 부채의식을 가지고 있었고 열사로 인해 자신의 인생이 바뀌었다고 토로했다.

남편인 박철 목사는 감리교 목사로서 일찍부터 민주화에 투신했던 인물이다. 어머니 권채봉은 열사의 산화 이후 줄곧 민주화운동에 참여했으며 2005년 향년 82세로 소천했다.

▲ 먼저 소개를 해 달라.

저 분이 큰 누나 김의숙, 저는 작은 누나 김주숙입니다. 4남2녀 중에 의기는 막내, 저는 바로 그 위입니다.

▲ 추모제에 매년 오시는가?

큰 누나 김의숙은 서울에 살고 있어서 해마다 오고, 저는 시골에 살고 있어서 못 오는 때도 있어요. 

▲ 열사는 지금 어디에 안장되어 있나?

518국립묘지에 있어요. 탄현 감리교 공원묘지에 있다가 2000년 20주기 때 옮겨졌어요. 

▲ 기념비에서 제사를 주최한 분들은 누구인가?

동문들이에요. 해마다 학번을 이어가면서 의기제 기획단을 구성해서 주최하고 있어요. 

▲ 추모문화제를 지켜보니 젊은 재학생들이 열사의 정신을 이어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추모문화제를 지켜보신 소감은?

해마다 와 보는데, 일단 고마운 마음입니다. 지금 학생들은 지금 38년이 지났는데 아직도 김의기를 생각하고 기억해 준다는 게 고맙고, 그 뜻을 잊지 않기 위해서 장학회도 만들어 장학금도 지급하고 추모사업회를 따로 만들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고 해요. 

▲ 이렇게 추모제에 참석하시면 마음이 힘들지 않으신가?

힘든 것 보다는 고마운 마음이 더 크고... 제가 참 부끄럽게 산 것 같아서 마음 아픈 것도 있고 해요. 제가 사실은 (박철 목사의) 사모가 된 것도 얘(김의기 열사)가 죽고 난 뒤 그 몫까지 살거다, 그런 생각을 가지고 신학을 하고 결혼을 하고 농촌목회도 하고 살아 왔어요. (그런데) 제가 충분히 그 뜻을 살리지 못하고 산 거 같아서 참 많이 부끄러워요. 그래서 여기 앉아 있으면, (학생들이) 저런 말을 할 때 내가 과연 제대로 살고 있나 반성을 하게 되요. 마음이 아픈 것 보다는 고맙고 그래요. 

▲ 오늘 제사에서 올해는 특별하다는 말이 나왔는데, 무슨 의미인가?

작년까지만 해도 참 많이 속상한 마음이었어요. 작년에는 제가 인사말을 하면서 이제 37년이나 되었는데 세상이 하나도 안 바뀌었냐고 말했거든요. 올해는 세상이 달라졌다는 것이 느껴지는 것 같아요. 올해는 오히려 기분이 좋아요. 세상이 달라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통일이 가까워지는 것 같고, (열사의) 그 뜻이 이루어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그래서 (열사에 대해) 덜 미안한 것 같아요.

17401_29383_3654.jpg
▲ 김의기 열사 추모문화제에서 인사말 하고 있는 열사의 둘째 누님인 김주숙 님. ⓒ윤병희

하늘에서 만나면 그때는 더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올해는 특별한 해 같아요. 그동안은 참 속상했어요. 박근혜 전 대통령이 서강대 졸업생이거든요. 재작년에 저는 여기 와서 학생들에게 ‘박근혜 같은 졸업생도 있고 김의기 같은 졸업생도 있어요. 여러분들은 박근혜 같은 졸업생이 되지 않으면 좋겠다.’는 말을 했어요. 올해는 세상이 좀 바뀐 거 같아서 좀 편한 마음으로 왔어요. 

▲ 열사로 인해 어려움을 겪으셨나?

저는 제 동생을 자랑스럽게 생각했어요. 

▲ 그러면, 박철 목사님의 민주화를 위한 투쟁에 대해서는? 힘드시지 않았나?

저는 목사님을 지지하고 있어요. 적극 지지해요. 아마 제가 목사님의 제일 큰 동지일 거에요. (웃음) 

▲ 저희는 열사나 박철 목사님과 같은 분들 곁에서 가족들이 어려움이 많을 거라고 예상했는데요. (웃음)

아니에요. 저는 오히려 적극적으로 지지에요. 제가 못한 것을 이분들이 더 했으면 하고 바랬죠. (웃음)

▲ 저도 종로5가 기독교회관을 자주 가는데요. 혹시 기독교계가 열사에 대해 소홀한 게 아닌가 생각되는데요. 

그렇지 않아요. 기독교에서 30주년까지 꼭 추모예배를 (계속) 드렸어요. 감리교청년회와 EYCK에서 주최가 되어서 추모예배를 하고, 책도 만들었어요. 30주년 기념하며 책을 냈지요.

그러면서 감청에서는 공식적으로 추모예배를 따로 안하고 그 후로도 광주 등에서 계속 추모행사를 했어요. 31주년부터는 서강대에서 매년 미사를 드리고 있어요. 오늘도 조현철 신부에 의해 미사를 했어요. 제사는 기획단에서 계속 드렸고요. 

▲ 자녀들에게 열사에 대해 어떻게 얘기해 주시는지?

많이 이야기했어요. 언젠가 아이가 교과서에 외삼촌이 나왔다고 하더군요. ‘동포에게 드리는 글’ 일부가 교과서에 나온적이 있거든요. (웃음) 

▲ 혹시 알려진 이야기 말고 아직 알려지지 않은, 하시고 싶으신 일화가 있다면? 

38년이 지나서 이제는 알려지지 않는 것이 거의 없어요. 숱하게 얘기했어요. 제 동생이 자랑스럽다고... 제 동생이 그 어린 나이에 하고 싶었던 것도 많았을 텐데, 대단하고 존경스럽게 생각해요. 

▲ 다른 형제들은 열사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저 만큼 가깝게 생각하지 않아요. 제가 제 동생을 유난히 더 좋아하고 아꼈기 때문에 그 뜻을 충분히 받아들이고 있는 것 같아요. 저는 제 동생 몫을 살아 낼 것을 사명으로 가지고 있었죠.

동생은 저에게 특별한 존재였어요. 다른 가족보다 저는 동생과 특별히 친했고요. 노래도 잘 가르쳐 줬고, 제가 직장 다닐 때 자장면 사달라고도 많이 하고, 갚는다고 했는데, 못 갚고 갔어요.

걔가 너무 좋았어요. 아주 애틋한 동생이에요. 여기오면 마음이 아프기도 하고 슬프기도 하고 고맙기도 하고 자랑스럽기도 하고 여러 가지 마음이에요. 

17401_29384_3810.jpg
▲ 사진 오른쪽부터 큰 누나 김의숙, 작은 누나 김주숙(박철 목사의 사모님), 그리고 박철 목사 ⓒ윤병희

▲ 박철 목사님은 저희 에큐메니안에 연재를 해 주시는 글에 인기가 많다. 박철 목사님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머라고 할까요... (웃음) 참 정의롭고 순수하신 분이다. 단순하고 직진하는, 요즘 보기드문 순수한 정의파에요. 잔머리 못굴리는.. 전혀 계산적이지 않아요. 그게 좋아요.

▲ 마지막으로 하시고 싶으신 말씀이 있으시다면?

의기는 제 인생을 바꾸어 놓은 애에요. 얘가 아니었으면 저는 그냥 평범하게 아무것도 모르고 살았을 거에요. 얘로 인해서 저는 신학교를 가고 이 사람(박철 목사)를 만나고 여기까지 온 거에요. 감리교 신학교를 나와서 안수는 받지 않고 박철 목사를 만나 결혼하게 된 거에요.

의기제 기획단이 마련한 추모문화제는 밤 늦게까지 이어졌다. 기획단은 문화제를 마무리하면서 "의기제를 준비하면서, 열사들의 사진과 삶을 톺아보면서 생각합니다. 그들이 그러했듯, 나 또한 내 앞에 놓인 폭력과 부조리들을 걷어내며 앞으로 걸어가리라고. 그들과 내가 같은 숨을 나누고 살아가고 있기에, 열사가 흘린 피가 나의 자유를 채우고 있기에. ‘동포여 무엇을 하고있는가’라는 질문에 노동자에 대한 착취,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 여성에 대한 차별과 폭력에 저항하겠노라고 답할 것입니다. 죽어서 살지 아니하고 사람으로 살아갑시다."고 다짐했다.

윤병희  ubiquitas@naver.com

<저작권자 © 에큐메니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