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주시 부석면 용암리에서 김 억 선생과 권채봉 여사의 4남 2녀 중 막내로 출생
6세의 나이로 재산초등학교 입학
영주 중부초등학교 졸업
영주중학교 입학
서울 배명중학교로 전학
배명중학교 졸업
배명고등학교 입학
배명고등학교 졸업
서강대학교 경상대 무역학과 입학(집안에서 유일한 대학생).
KUSA(Korea Unesco Student Association) 가입.
서강대 KUSA 하계 농촌 활동 대장(강원도)
여름 서강대 하계 농촌 활동 대장 역임.
봄에 후배들과 소그룹 학습을 시작하는 한편, 농업 문제연구모임에 참여하기 시작
감리교 청년회 전국 연합회(감․청․연) 참여
서강대 등의 농촌 활동 지도
감․청․연 농촌 선교위원회 위원장
서강대 농촌 활동 지도 및 하계 농촌 활동 참여(고문 및 규율부장). 감․청․연 여름 선교 교육 대회홍보위원
서강대에서 근대사 연구 모임 주도
서강대 교내시위 계획. 10.26사태로 무산
서강대학교 민속문화연구반 농촌 활동 지도
서강대 총학생회 부활 추진위원회 활동에 적극 참여
감․청․연 제 23차 겨울 선교 교육대회 진행위원장
감․청․연 농촌선교위원장
기독교 청년 협의회 (E.Y.C) 농촌 선교 분과 위원장
농촌(전남지방)과 서울을 왕래하며 농촌 문제 정리. 농촌활동 자료집 발간에 주력
“농촌 활동 안내서” 기획․제작
‘함평고구마 농민 투쟁 승리 기념식(5.19일)’에 참석차 광주 방문, 광주민중항쟁 목격.
기념식에 같이 참여한 동화작가 윤기현은 김의기에게 “지금은 계엄군에 맞서 싸우는 것 보다는 광주가 고립되지 않도록 상황을 외부에 알리는 게 중요하다‘고 말하며, 광주를 빠져나가길 권유. 계엄군이 잠시 뒤로 물러난 사이를 틈타 5.24일에 서울로 올라옴(1980.5.24.일).
오후 5시경 ‘동포에게 드리는 글’을 남기고 종로 5가 기독교회관 6층 (607)호에서 계엄군의 탱크 사이로 산화.
오전 11시. 서울대학병원 영결식장에서 감.청.연, 기.청, 형제교회 주최로 영결 예배 거행. 경기도 일산(금촌) 기독교 공원묘지에 묻힘
서강대학교 졸업 예정
[김의기열사추모집(비매품)]을 발간
서강대학교 도서관 옆 공간에 추모비건립.
서강대학교 명예졸업
사단법인 5.18 유족회가 제정한 ‘5.18 시민상’ 수여
[518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 [518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심의위원회(광주광역시청)]에서 보상 심의 및 결정.
1998년 보상 심의 결정에 따라 [국립5.18 민주묘지 제 4-12구역]에 안장.
국가보훈처에서 [518관련사망자]로 유공자 등록(84-160171).
[5월 하늘 아래 바보청년, 김의기(30주년추모집, 기독교감청동우회중심 추모사업회)]발행.
사단법인 김의기기념사업회 창립.
김의기40주년평전[의기, 스물두 해의 불꽃 튀는 삶(정화진, 서해문집)]출간.
오월걸상위원회 주최로 종로5가 기독교회관 자리에 ‘오월걸상’ 설치.